코딩

백준 10810 c++

설빈쟝 2023. 6. 19. 23:05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0

 

10810번: 공 넣기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가장 처음 바구니에는 공이

www.acmicpc.net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가장 처음 바구니에는 공이 들어있지 않으며, 바구니에는 공을 1개만 넣을 수 있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공을 넣으려고 한다. 도현이는 한 번 공을 넣을 때, 공을 넣을 바구니 범위를 정하고, 정한 바구니에 모두 같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넣는다. 만약, 바구니에 공이 이미 있는 경우에는 들어있는 공을 빼고, 새로 공을 넣는다. 공을 넣을 바구니는 연속되어 있어야 한다.

공을 어떻게 넣을지가 주어졌을 때, M번 공을 넣은 이후에 각 바구니에 어떤 공이 들어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과 M (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서 공을 넣는 방법이 주어진다. 각 방법은 세 정수 i j k로 이루어져 있으며, i번 바구니부터 j번 바구니까지에 k번 번호가 적혀져 있는 공을 넣는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2 5 6은 2번 바구니부터 5번 바구니까지에 6번 공을 넣는다는 뜻이다. (1 ≤ i ≤ j ≤ N, 1 ≤ k ≤ N)

도현이는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대로 공을 넣는다.

출력

1번 바구니부터 N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의 번호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공이 들어있지 않은 바구니는 0을 출력한다.

 

 

혼자풀이

 

한바구니에는 한개의 공.       N개의 바구니.     N번까지의 많은 공.

바구니에 연속된 범위를 정하고 공을 넣는다. 공이 이미 있으면 빼고 새로 넣는다. 

공을 넣는것은  번이 횟수가 아니라 '적힌 공' 이다.

 

3번 공은   3번횟수로 공을 넣는게 아니라 3이 적힌공 을 넣는다는 뜻같다.

출력은 바구니에 담긴 공의 번호를 출력. 들어있지않으면 0, 이걸 m번 반복한다.

 

 

 

 

흠... 일단  세 정수 i j k 중   가방이 i~j 니까 먼저 정해줘야겠지.

 

입력받은 i~j 만큼 가방을 미리 정해주고  k를 입력받으면 k 라는 수를 배열에 넣으면 되겠네.

한 배열을 지정하고    n번째 가방은   배열번째에 +1 하면 될거 같은데?

 

 

하고 k라받으면는 걸  k-1번째 배열에 넣으면 되겠다. 대신 위에 겹쳐서 위에 붙이기.

 

 

 

 

 

시간이 없는 관계로 생각했으니 해설보기

 

해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m;
int arr[101] = { 0, };
int a, b, c;
cin >> n >> m;
for(int i = 0; i < m; i++) {
cin >> a >> b >> c;
for(int k = a; k <= b; k++) {
arr[k] = c;
}
}
for(int i = 1; i <= n; i++) {
cout << arr[i] << ' ';
}
return 0;
}

 

 

n,m 을 선언해주고

 

arr[101] 101칸 짜리 배열을 선언해준뒤 모두 0으로 초기화한다.

a,b,c를 선언한다.

 

n과 m 을 입력한다.

 

for문을 돌려 m번 동안 반복하니까.

 

m번동안 a,b,c 를 입력받는다.

 

for문으로 a부터 b까지 돌려서

 

모든 a~b 배열에  c 를 넣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for문으로 1부터 n까지 배열을 출력한다.

return 0 으로 초기화

 

느낀점

생각보다 문제보다 코드가 간단해서 놀랐다.

대충 어떤식으로 하는지는 맞은것 같다.

근데 이제 그걸 구현하는게 살짝 막힌다해야하나?

근데 코드를 보고 이해는 되는거같다.